content="user-scalable=no, initial-scale=1.0, maximum-scale=1.0, minimum-scale=1.0, width=device-width"> [자녀장려금 신청, 우리 집도 가능할까요? 조건 간단 정리]
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[자녀장려금 신청, 우리 집도 가능할까요? 조건 간단 정리]

by 온잡블로그 2025. 5. 1.
반응형

 

 

안녕하세요.
21개월, 6개월 두 아기를 키우고 있는 연년생 육아맘이에요.
남편은 야간 근무를 하며 하루 12시간씩 일하고 있고, 저는 육아에 전념하고 있어요.

요즘 자녀장려금 신청 시즌이라 “혹시 우리도 받을 수 있을까?” 싶어서 조건을 하나하나 따져봤어요.
작년에는 안된다고 해서 포기했었는데, 소득도 재산도 큰 변화가 없어서 올해는 혹시 될까 싶더라고요.

그래서 오늘은 자녀장려금 조건이 어떻게 되는지, 우리 집이 해당되는지 간단히 정리해봤어요!
혹시 저처럼 궁금하신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 공유해요 😊

 

 


 

✅ 1. 자녀장려금 신청 자격 요약

 

✔️ 자녀 요건
- 만 18세 미만의 부양 자녀가 있어야 해요.
→ 저희 집은 21개월, 6개월 아기가 있어서 자녀 요건은 충족했어요!

✔️ 가구 유형 & 소득 요건
- 저는 주부라 소득이 없고, 남편 혼자 일하니까 '홑벌이 가구'로 분류돼요.
- 홑벌이 가구의 경우 연 소득 4,000만 원 미만이면 신청 가능해요.

참고로 남편의 월급은 세전 약 3,470,300원,
여기에 명절 상여금 연 200만 원 × 2회 = 400만 원 정도가 추가돼요.

→ 연 소득을 계산하면 약 4,564만 원(추정)으로,
소득 기준 4,000만 원을 초과해서 자격이 안 되는 걸로 나왔어요 😢

✔️ 재산 요건
- 재산이 2억 원 이하이면 되는데요,
저희는 집도 월세, 차도 없고 특별한 재산도 없어서 이 부분은 충족했어요!

 

 


 

💡 소득 기준 꼭 확인하세요!

 

소득은 ‘세전 기준 + 상여금 포함’으로 계산되기 때문에,
단순히 월급만 보고 판단하면 착오가 생길 수 있어요.

혹시라도 세금이 빠지는 급여만 보고 "괜찮겠지?" 했다가
나중에 탈락 통보 받으면 정말 속상하잖아요… 😢

 

 


 

✅ 모의 계산으로 확실히 확인하는 법!

국세청 홈택스나 손택스 앱에서
‘자녀장려금 모의 계산’ 기능이 있어요.

주민등록번호 없이도 간단하게 예상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니
신청 전에 꼭! 한번 해보시길 추천드려요 😊

 


 

 

저희처럼 조건 경계선에 있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,
소득·재산 요건만 정확히 체크하면 신청 여부를 바로 알 수 있어요.

아이들 키우며 하루하루 빠듯하겠지만,
이런 제도들이 작은 도움이 되어주길 진심으로 바라며…
모든 부모님들, 정말 고생 많으십니다 🙏💕

 

 

 

더 자세한 조건 정리는 아래 블로그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!

👉 자녀장려금 조건 자세히 보러가기

 

반응형